본문 바로가기
care farming

공원의 위로 도서의 책소개, 저자소개, 발췌문

by 옥토쌤 2024. 3. 5.
728x90
반응형

공원의-위로
공원의-위로

 

공원의 위로 도서의 책소개로 조경미학자 배정한 교수가 국내외 여러 공원과 도시를 걸으며 생각한 것들. 58편의 에세이에서 경의선숲길공원, 광교호수공원처럼 수도권 공원은 물론, 전주 맘껏숲놀이터나 마산 임항선

그린웨이같이 지역에 있는 공원, 뉴욕 도미노 공원, 파리 샹젤리제 같은 외국의 공원까지 약 40곳의 다양한 공간을 두루 다루며 도시 속 공원의 의미를 묻는다.

 

  공원의 위로 도서의 책소개

산책하는 것처럼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하면, 공원을 걷는 것 같다가 어느새 공원의 구조와 미학, 도시와의 관계를 생각하게 된다. ‘도시의 멀티플레이어’ 공원의 다채로운 면면을 보여주면서 지금 우리의 공원은 진정 어떠한 모습인지, 우리는 이 공공 공간과 도시에서 어떻게 살고 싶은지 묻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어령의 공원론을 인용하며 공원은 몸에서 배꼽과 같이 반드시 필요한 빈 공간이라고 말한다. 모든 장소를 효율성과 상업성의 논리로 채우려고 하는 시대, 이 책을 읽으며 하게 될 ‘빈 공간’에 대한 사유는 곧 대안적 삶에 대한 사유이기도 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전주 맘껏숲놀이터나 괴산의 뭐하농처럼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을 구체적으로 그리며 조성된 공간뿐 아니라 광화문광장이나 박물관, 사옥 빌딩, 야구장처럼 바쁜 도시생활 틈틈이 스며들 수 있는 도시의 공간들까지 우리가 다른 삶을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곳이라고 여기며 각각의 공간을 주제로 삼아 다룬다.

“놀랍게도 야구장은 규격이 제각각이다. 베이스 간 거리를 비롯한 내야의 규격은 격자형 도시의 블록 크기처럼 일정하지만, 외야의 넓이, 펜스 높이와 재질은 야생의 자연처럼 변화무쌍하다. 도시(내야)와 자연(외야)이

만나 다양한 변주를 펼친다. 이렇듯 야구장은 공원의 한 전형이다. 물론 이런 식의 논리에 아내가 고개를 끄덕였을 리 없다.”

 

공원은 그 무엇보다 위로와 환대의 장소이며, 그런 공간이 곧 공원일 수도 있음을 이야기하는 저자의 관점은 도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전형적인 '공원'이 아니더라도 우리를 위로하고 환대하는 도시 속 공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저자소개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환경과조경> 편집주간. 무엇보다 공원 걷는 사람.
서울대학교에서 조경학을 공부했고,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박사후연구를 했으며, 워싱턴대학교 건축환경대학 방문교수를 지냈다.

 

조경 이론과 설계, 조경 미학과 비평의 사이 영역을 탐구하며, 통합적 도시·공간의 디자인 해법을 모색한다.

이론과 실천의 교집합을 확장하고자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광교호수공원, 용산공원 등 프로젝트의 기획과 구상에 참여하기도 했다.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를 썼고, 《경관이 만드는 도시》《라지 파크》를 우리말로 옮겼다. 이 외에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용산공원》《건축·도시·조경의 지식 지형》《공원을 읽다》《봄, 조경 사회 디자인》《서울도시계획사》를 비롯한 다수의 책을 동학들과 함께 썼다.

 

 발췌문

'좋은 자리에서 거주하고 노동하며 산다는 건 참 지난한 일이다. 평범한 도시인이 가질 수 있는 자기 자리는 좁은 집과 작은 일터가 전부다. 집과 직장을 반복적으로 오가는 틀에 박힌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작은 여유와 재미를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자리가 필요하다. 

 

사회학자 레이 올든버그의 개념을 빌리면, ‘제3의 장소’라 말할 수도 있겠다. 일상의 굴레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는 위로와 환대의 장소. 하지만 자본주의 도시에서 그런 자리는 우리에게 쉽게 주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공공 공간이 필요하고 함께 쓰는 공원이 중요하다. 내 소유는 아니지만 누구나 편안하고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나의 공원. 이런 공원이 많은 도시가 건강하고 아름다운 도시다.'

 

“양화한강공원을 설계한 조경가 박윤진과 김정윤이 주목한 건 한강의 뻘이다. 여름에 범람할 때마다 둔치에 쌓이는 엄청난 양의 뻘이 원활하게 들고 날 수 있도록 제방형 둔치를 해체하고 지형을 다시 디자인했다. 지형으로 뻘을 다루고 뻘을 이용해 새로운 식물 생태계가 자리잡도록 했다."

 

"수위가 올라가면 호안 형태가 변하고 물과 뭍의 경계가 사라진다. 급사면을 벌려 고수부에서 강가로 완만하게 이어지게 만든 여러 개의 아름다운 경사면 덕분에, 공원 어디서나 한강 풍경이 한눈에 들어오고 계단과 급경사 없이 물가로 내려갈 수 있다.”

 

“긴 선형이지만 전체 노선을 완주할 이유는 없다. 걷고 쉬다가 언제든 선로를 이탈해도 된다. 어디서든 들어와 어디로든 나갈 수 있다. 입구와 출구가 따로 없고 공원 안팎을 가르는 울타리도 없다. 이곳저곳 산만하게 기웃거리고 옆길로 새도 되는 자유를 허락한다."

 

"철길을 보존하거나 재현한 바닥 재료 선정이 섬세하고 단정하며, 지그재그형 보행 동선으로 공원 길의 절곡부와 주변 동네 길을 만나게 한 디자인이 뛰어나다. 면 형태의 일반적인 도시공원은 안으로 들어갈수록 번잡한 도시에서 떨어진 별천지 같은 느낌을 선사하지만, 그건 어떤 의미에서는 의도적인 피난이고 인위적인 고립이다. 반면 긴 선형의 경의선숲길은 도시의 욕망과 혼란, 무질서와 나란히 공존한다.”

 

 

 

 

 

728x90
반응형